2023년 2월 13일
펨토바이오메드 주주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2023년 세계 경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인플레이션과 미 연방준비제도의 계속된 금리 인상 등의 여파로 경제 침체를 마주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반대급부로 2021년까지 풍부한 자금 유동성에 힘입어 성장했던 바이오 기업들은 자금확보가 어려워 짐에 따라 개발과제 지연 및 비용절감을 통한 생존력 확보에 절치부심한 상황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산업에 대한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펨토바이오메드는 안정적인 셀샷(CellShot®) 기술을 완성하여 연구 중심에서 비즈니스 중심의 회사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하반기 CellShot®의 완성 이후 10곳이 넘는 공동개발 파트너와 빠르게 사업 확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주주 여러분들에게 기쁜 마음으로 공유 드리고자 합니다.
CellShot® 개발 Highlights
CellShot® 기기 및 카트리지
펨토바이오메드는 세포내 유전자 전달을 위한 혁신적인 원천기술 ‘Partitioned Flow Electroporation (PFEP)’을 개발하였습니다. 위 기술은 기존의 전기천공 방식에서 가지고 있던 어려움(세포손상, 세포손실, 중간처리 과정인 원심분리 등으로 인한 밀폐 환경 구축의 어려움을 가지는 공정 등)을 해소함으로써 더욱 건강한 세포에 더 많은 전달을 가능케 했습니다. 당사의 연구진은 CellShot® 플랫폼(CellShot®기기 + 일회용 CellShot® 카트리지 + CellShot® 소프트웨어)을 완성하였고, CE인증을 완료하였으며, 2022년 4분기~2023년 1분기 동안 출시하여 공동개발처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밀폐형 자동화 시스템을 갖춘 CellShot®기기에는 실험 정보를 QR코드로 인식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Windows기반 터치 디스플레이를 올인원으로 장착하여 유저 친화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용 CellShot®카트리지의 양산 시스템을 자체 클린룸 생산시설에 구축하여 공동개발 및 제품 판매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임상용 카트리지의 cGMP 인증은 2023년 하반기에 마무리되어, 임상 시 요구되는 미국 FDA의 Drug Master File (DMF)가 작성될 예정입니다.
CellShot® Software
자동화 장비를 위한 자체개발 소프트웨어로 Windows용 CellShot® 소프트웨어 ‘CellShot® QR Touch’를 론칭 하였고, 세포분석 관리 프로그램인 ‘CellShot® QR DB’를 개발하여, 아마존 웹 서비스(AWS)에서 제공하는 서버를 기반으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용이하게 하고 데이터 유실을 예방하였습니다. 위 두가지 기능은 사용자가 정확하고 편리하게 Cell engineering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세포처리기기 전용 컨트롤 소프트웨어 CellShot® QR Touch는 준비된 세포 및 물질의 처리량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사용자 및 1회용 카트리지 정보•세포처리관련 정보를 QR 코드로 인식하여 입력 오류를 원천 차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간편하고 정밀한 세포처리 조건들의 조작을 제공하는 GUI를 제공하고, 직관적인 실시간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세포처리 과정에 대한 정확한 적격성 평가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세포분석 및 관리 프로그램 CellShot® DB는 세포처리와 관련된 FACS(형광이용세포분류기)등의 분석 데이터를 관리하고,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처리환경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제공하며, 세포처리에 필요한 소모품, 세포 그리고 물질 등의 관리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재고관리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
위의 두 기능은 실제 이용자의 관점에서 만들어, 기기 도입 시 데이터 제조부터 관리까지의 과정을 편리하게 할 것이라 예상됩니다.
사업확대 Highlights
국내 비즈니스
2022년 3분기를 시작으로, 9월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과 세포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상호 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고, 같은 해인 10월에는 CellShot® 플랫폼을 서울성모병원의 연구소에 론칭 하였습니다. 현재 Primary PBMC, NK 등의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꾸준히 진행 중이며, 추가로 올해 2월에는 서울성모병원 연구소 내에 펨토바이오메드 연구소를 신규 설치하여 성모병원 내 상주 중인 다양한 세포치료제 기업 및 연구진들과의 연구 협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국내 세포치료제 벤처기업, (주)셀라토즈테라퓨틱스에 2022년 12월 CellShot® 플랫폼을 론칭 하였고, 현재 상호 협력 하에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한 NK세포 내 mRNA 전달 조건 최적화를 진행 중입니다. 이외에도 아직은 공개할 수 없으나 국내 세포치료제 전문 바이오텍 및 국내 대학 연구팀 7~8 곳과 공동개발을 위한 협의를 진행중에 있으며, 2023년 1분기 내에 CellShot®플랫폼을 론칭하고, 더불어 국내에서 진행하는 전시회 및 학회 참가를 통해 CellShot® 홍보를 강화하여, 기기매출 및 카트리지 매출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글로벌 비즈니스
2022년 4분기부터 미국진출 기반 마련을 위한 현지 협력사 발굴뿐만 아니라, 잠재적 실사용자의 목적에 따른 기기개발 관련 피드백 수렴을 목적으로 글로벌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기업에도 기기 소개와 실제 플랫폼 론칭을 위한 미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1월, 경영진을 포함한 출장단이 미국 현지 A대학 연구기관에서 CellShot® Demo를 진행한 후 론칭하였습니다. 앞으로 해당 기관에서의 POC 결과를 토대로 글로벌 시장 사업 확대를 기대하고 있으며, 2023년 상반기에는 CellShot®의 글로벌 론칭 및 홍보를 위하여 미국 현지에서 개최되는 전시회(5월16일 – 5월20일 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 Annual Meeting, 6월14일 – 6월17일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 Annual Meeting 2023) 참가를 통해 CellShot®에 대한 홍보 및 글로벌 사업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잠재적 파트너사들의 피드백을 취합/반영하여 글로벌 수준에 적합한 CellShot®의 퀄리티를 확보할 것입니다.
비즈니스 Highlights
고 용
현재 임직원수는 24명이며, 최주현 대표이사(PhD)가 펨토바이오메드의 공동 대표이사로 합류했습니다. 최주현 대표이사는 세포치료제 분야를 비롯한 바이오 전문가로서 LG생명과학에서 5년 간 세포주 개발 및 면역원성 평가 업무, 신약연구소 면역학팀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이후 2013년 사노피코리아 리서치 헤드로 재직하며 혁신신약 오픈 이노베이션 업무 담당, 2014년엔 유유제약 전략기획실장, 2015년 차의과대학교 부교수,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공동 창업을 진행하였으며 이후 쿼드자산운용의 PEF본부장직을 맡으면서 바이오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습니다. 최주현 대표이사는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펨토바이오메드의 비즈니스 모델 구축과 더불어, 경영 전반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미국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컨설턴트 출신의 BD (Business Development) 인력을 영입하였습니다.
NET 인증
2022년 12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으로부터 신기술인증(기술명 : 세포내로의 mRNA 직접 전달을 위한 실시간 형질 주입 기술)을 획득했습니다. 이번 인증은 mRNA 등 유전물질을 면역세포에 직접 전달해 전·후처리의 세포처리 공정 없이 세포치료제를 제작하고, 환자 유래 면역세포 내로 CAR-mRNA 유전물질을 전달해 고형암 표적 CAR-NK 세포치료제를 제작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입니다. 이는 세포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방지해 세포 생존율을 증대 시킴과 더불어, 미세유체칩 기반의 유동 상의 전기천공 기술로 세포-유전물질 직접전달이 가능하며, mRNA 전달을 통한 비바이러스성 세포치료제 제작으로 생체 내 안정성을 확보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CE인증
2022년 12월, CE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이번 CE인증을 통하여 셀샷(CellShot®)에 대한 국제표준 수준의 제품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본격적인 수출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자금현황 및 증자추진
2022년 12월 말 기준 회사의 현금 보유액은 약 20억원입니다. 해당 현금 보유액은 2023년 상반기까지의 운영가능 자금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현재 회사는 2024년 하반기 코스닥 이전상장(IPO)를 목표로 하고 있어 해당 시기까지의 자금 확보를 위한 신규 투자(시리즈 D)활동을 활발하게 진행중에 있습니다. 또한 회사 내부적으로도 전 임직원 임금 동결, 핵심인력 외 인력감축 및 본사 이전을 통한 고정비 감축, 자금 집행 분석을 통한 운영 비용 축소 등 투자금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서두에 언급 드린 바와 같이, 최근 바이오산업은 어려운 환경에 직면해 있습니다. 2022년 "벤처투자 동향 발표"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 의료 분야 벤처투자는 전년도 대비 34.1% 감소한 1조1058억원으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펨토바이오메드는 이러한 상황을 진정한 옥석 가리기의 시기라 생각하고, 경영진 및 전 임직원이 하나되어 지금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CellShot®의 완성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 확대를 통해 2023년을 펨토바이오메드 성장의 기점으로 삼겠습니다.
앞으로 펨토바이오메드는 반년마다 주주 여러분께 회사가 진행 중인 소식들을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펨토바이오메드의 성장을 지켜봐 주시고 응원해주시기를 바라며, 회사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대표이사 (Chief Executive Officer)
최주현(PhD), 이상현(PhD) 올림
E-Mail : office@femtobiomed.com
Tel. 031-622-8501